센터의 대표자이며 운영위원회의 장으로서 연구센터의 운영을 총괄한다.
센터의 소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국내․외 저명학자, 대학병원의 의료관계자, 기업가 등을 구성원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
센터의 재무 상태 및 운영 전반을 감사하고 그 결과를 운영위원회에 보고한다.
센터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로서 센터 소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연구그룹의 연구책임자 및 핵심연구원으로 구성된다.
운영위원회의 기능과 임무는 다음과 같다.
센터에서 수행되는 연구를 실제로 수행하는 부서로서 2개의 연구팀으로 구성한다.
센터의 운영 및 사업을 수행하는 부서로서 센터의 연구관리, 교육훈련, 각종 행사준비 등 제반 행정업무를 전담하며, 산학협력단과 연계된 연구비관리 및 핵심참여연구원들에 대한 센터 관련업무 등을 지원한다. 센터 홈페이지 및 소식지를 제작, 관리하며, 국제협력, 산․학협력, 특허지원 업무 등을 담당한다.
평가위원회는 매년 회계연도에 2회 개최하며 센터 연구원의 연구업적과 센터사업에 대한 자체평가를 실시하며, 다음과 같은 업무를 수행한다.
<표 1> 자체평가 항목 및 평가 기준
구분 | 평가 지표 | 평가 기준 | 점수 |
---|---|---|---|
연구개발 실적 (90%) |
저명학술지 발표 | 참여도, IF, 분야별 상위 단계별 %로 산정함 | 35 |
핵심연구원간 공동연구 | 핵심연구원 간의 공동연구로 발표된 논문 건수로 산정함 | 35 | |
특허 출원 및 등록 | 국내 특허 출원/등록, 국제특허 출원/등록으로 산정함 | 35 | |
센터유치 연구비 수혜실적 | 기술이전 실적/산업체 수혜연구비 수혜 | 35 | |
센터 운영 기여도 (10%) |
센터 운영기여도 | 교육활동, 심포지움, 워크숍, 세미나 포함 각종센터업무 기여도 및 참여도 | 10 |
100% | 종합 | 100 |
항목 | 가중치 | 배정점수 | |
---|---|---|---|
1 | 공동연구논문 편수 | x 3 | |
2 | 분야 별 상위 10% 논문 편수 | x 2 | |
3 | IF 10 이상 논문 편수 | x 2 | |
4 | 제1저자 또는 교신저자 논문 편수 | x 1 | |
5 | 공동저자 논문 편수 | x 0.5 | |
6 | 단계평가 시 대표성과 논문 편수 | x 1 | |
7 | 센터장/그룹 책임자 | 5 |
운영위원회에서는 평가위원회에서 보고된 평가 결과를 참고하여 센터 운영 방향, 연구원의 충원 및 교체, 연구비 및 인센티브 지원, 센터예산 등을 결정한다.
핵심연구원 및 연구교수이상 연구원은 센터 운영위원회의에서 선발하여 충원한다.
각 연구그룹 과제책임자의 건의에 따라 핵심연구원 및 연구교수를 운영위원회에서 교체를 결정한다. 매 1년마다 평가결과에 따라 핵심연구원과 연구교수는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후 센터장이 교체할 수 있다.
각 연구과제의 제안서, 보고서, 재정, 연구원 인사 정보, 업적 등 일제의 서류를 행정지원실에서 관리하며 전산화하여 필요한 사항은 공유한다. 센터 홈페이지를 만들어 정보의 교류를 원활하게 한다. 학술지, 연구 결과, 전자출판물, 서적, 연구원 학위 논문, 각종 문헌 등을 문헌정보실에 보관하여 센터 관련 연구원들이 수시로 열람할 수 있게 한다.
홈페이지에 연구원의 연구결과,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본 사업단이 개발한 최초의 프로토콜, 수행하는 연구과제, 구성원 인적사항 등을 공개하고 필요한 자료는 공유하게 한다.
본 센터에서 보유한 고가 기자재의 성능 및 활용 범위 등을 홈페이지를 통해 홍보하고 바로 담당자와 전자우편으로 연결되게 하여 기기들을 실제적이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여러 대학이 밀집한 서울 신촌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의 전문연구 센터로서 생명공학관련 기업, 의학/제약관련 기업, 병원 위한 기술자문, 기술지도 또는 교육을 실시하여 기술력 향상을 돕고, 각종 언론, 시민을 위한 기타 강연이나 자문을 통해 국가 발전을 위한 기술선도의 역할도 수행한다.